대형 플랫폼 회사인 네이버가 오프라인 결제 시장에 뛰어든다.
이는 유사 플랫폼 회사인 카카오가 "카카오 페이"를 통해 간편결제, 송금 서비스 시장에서 사업을 추진했던 방식과 유사하다.
1. 사업 추진 예상
- 카카오가 "카카오톡"이라는 메신저 플랫폼을 통해서 오프라인 가맹점 시장 선점을 빠르게 확대했다면,
- 네이버는, 자사 페이 시스템을 통해 결제 시 포인트를 적립 및 기존 플랫폼(네이버페이, 네이버예약) 등에 쌓여있는 포인트를 오프라인 가맹점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성숙기 BM인 네이버 쇼핑에서의 고객 혜택을 제공하면서 오프라인 가맹점을 점유할 것으로 보인다.
2. 플랫폼 회사의 결제 시장 개척 배경
그 간 플랫폼 사들이 사업에 주저하던 결제시장에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배경은 정부의 제로페이 사업추진에 따라 QR리더기가 많은 가맹점에 보급되었음에 있다.
이는 가맹점에서 추가적인 단말기를 구매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바 플랫폼 회사에서 시장 개척을 함에 있어 진입장벽이 크게 없어진 것이다.
- 카카오페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의 경우 카카오페이 측과 가맹계약을 하는 것처럼,
- 네이버페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맹점 역시 네이버페이 측과 가맹계약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물리적 사업 전개 방향
현장에서의 서비스 도입은 카카오페이와 동일하게,
- 올해 4분기 1차적으로 카카오페이의 카카오머니서비스와 같이 금융계좌를 연결한 선불 충전 방식의 오프라인 QR결제 서비스를 먼저 선보이며,
- 내년 상반기 신용카드사와 위.수탁 계약을 통해 실물카드결제 방식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4. 플랫폼 사의 장기적 사업 방향
사실 플랫폼사업자가 결제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영리적 목적의 Business Model로 생각하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카드사에서 결제중계업체에 주는 수수료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기존 삼성페이의 경우에도 서비스 자체 수익보다는 삼성 휴대전화 단말기를 쓰도록 하는 목적이 더 크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사가 진행하는 사업을 예상해보면 아래와 같다.
4-1. 광고 및 송금 사업
이에 따라 플랫폼 사는 송금 및 광고시장에서 추가적인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제서비스를 통해 기존 자사플랫폼의 로열티가 높은 고객들을 락인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 간편결제시장
한국은행에 따르면, 공인인증서 없이 비밀번호를 이용해 결제하는
-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평균 이용액은 1745억원으로 1년 전보다 44% 늘었고 이용건수는 602만건으로 56.6% 증가했다.
-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액과 이용건수도 각각 2346억원과 249만건으로 전년 대비 124.4%, 76.7% 증가했다.
- 이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는 수익 시장도 선점할 것으로 판단된다.
5. 네이버의 오프라인결제 시장 선점 전략
네이버는 그동안 자사 플랫폼(네이버쇼핑, 네이버숙박예약 등)에서 네이버페이로 결제할 때마다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방식으로 이용자를 모아왔다.
구독 서비스까지 도입한 네이버는, 자사 플랫폼을 구독하는 이용자에게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추가 혜택과 웹툰·음원 등 디지털 콘텐츠 이용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오프라인 결제 시장에서 네이버페이로 결제 시 이러한 네이버 전체 플랫폼의 고객 로열티 제고를 확고히 하고 기존 고객의 락인 및 추가 고객 유치도 활발하게 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6. 가맹점 수수료
마지막으로 최종 가맹점의 시각에서 생각해보면, 수수료가 떠오른다.
기존 카카오페이 등을 고려할 때 수수료는 아래와 같을 것으로 예상 된다.
- 일반 신용카드 : 0.8 ~ 2.0%(가맹점 연매출에 따라 상이)
- 카카오페이의 머니서비스 : 1.5%~ 2.5%(모집 대리점의 영업에 따라 달라짐)
- 네이버페이의 머니서비스 : 위와 유사할 것으로 사료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의 신용카드 사용 : 기존 카드사 수수료와 유사
(신용카드 구축의 경우 기존 카드 발급사를 통해 위탁하는 바, 발급사의 정책에 따라갈 것으로 판단)
7. 떠오르는 생각
- 카카오톡이라는 메신저 플랫폼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결제 시장에 뛰어드는 카카오페이와
-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선점한 네이버페이가 오프라인 결제 시장에서 추 후 시장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을 하며 시장 M/S를 어떻게 점유할지
- 이에 따라 이해관계자인 유통 대리점 및 가맹점에 어떠한 변화가 생길지 2021년이 궁금해진다.
'결제 시장 > Offl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유소에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됩니다! (0) | 2020.11.03 |
---|---|
3. 배달 창업 전 반드시 알아야할 것들, 수수료 검토 시 과연 사업성이 있는가?(Feat. 금융위원회, 한국외식산업연구원)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