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0대 초반, 사회초년생의 3억 만든 과정


https://youtu.be/W85NGV0MVFE

30대 초반 직장에서 3억을 만드는 과정, 돈관리(안) 하는법 #지출관리 #가계부 #사회초년생

안녕하세요 😍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 오늘은 조금은 사적인 내용들이 많네요.... ========================================= 처음엔 월급날이 항상  유난히 멀게만 느껴지곤 했다. 월급은 항상 정확히

youtu.be



이번 포스팅은 개인적인 친구와 미국에서 근무하는 동생과의 이야기들이 있어 영상 시청하시면 감사합니다! 😊

조 바이든(미국 제 46대 대통령)

당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얘기하지 말고, 당신의 예산을 보여달라.

8/25일, 월급 입금 문자가 도착했다.
처음엔 월급날이 항상 유난히 멀게만 느껴지곤 했다.
월급은 항상 정확히 입금 되는데 통신비 따위의 고정지출이 나가고 나면 남은건...
눈뜨고 코베인다는게 이런 느낌일까? 라는 생각을 하곤 했다.

그렇게 월급날이 지나고 3주 정도 지나고 나면 다시 통장은 텅장이 되어버리는...

그래서 방법을 찾고 싶었다. ( 휴~ 같이 나와야함)

그렇게 가계부를 작성한지 벌써 오랜 시간이 지났습니다.
처음엔 이렇게 기록하는걸 실패를 했는데 욕심이 앞서서 자동으로 비용을 계산해주는 앱들까지 사용하면서 매일 꼼꼼히 가계부를 작성했지만 힘만 들었고..
써도 지출은 그대로고 돈도 안모이고 동기부여 자체가 안됬달까요?

그래서 그냥 정말 간단한 템플릿을 만들어서 직접
일주일에 10분 힘들이지 않고 관리하기로 했는데, 효과가 좋았어요.

오늘은 정말 간단한 엑셀 템플릿을 소개하고, 각 컬럼에서 어떻게 소비 관리를 하는지, 한주에 한번으로 얼마나 소비습관이 바뀌는지 소개할게요.

물론 저는 전문 자산관리사가 아니라 그냥 정리하기 좋아하는 오타쿠일 뿐이라서 쓸만한 팁만 갖고 가시면 됩니다.

저는 이 템플릿을 만들면서 세가지 생각을 했어요.
첫번째, 사용할 예산을 정리하자
둘째. 소비 패턴을 분석해서 지출 관리를 하자
셋째, 지출관리를 통해 투자와 저축으로 실제 자산가치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들어보자.

그럼 바로 템플릿을 볼게요.

비어있는 이 엑셀 문서는 다운받을 수 있게 설명란에 링크를 달아두었구요.
원하는 형태로 가공해서 사용해도 좋을 것 같아요!!
우선 가장 먼저 두번째 시트를 열어서 예산설정을 합니다.

예산 설정방법은 미국 의원이 제시한 50/30/20 법칙을 추천합니다.

우선 50%를 고정비로 배정하고, 30%는 변동비, 20%는 저축, 투자에 정확하게 분배해두는건데요.

이 비율은 꽤 여유로운 예산 편성입니다. 개인의 예산 계획에 따라서, 그리고 관리하시면서 천천히 조정해도 좋습니다.

우선 제 수입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고정비 항목들을 개인의 기호에 맞게 채워봅니다.
고정비에는 쓰지 않으면 안되는 지출, 내지 않으면 안되는 공과금, 안내면 연체가 되거나 채권 추심들어 오는 카드 값 또는 대출 원리금따위의 것들입니다.

저는 예산관리 기초 기법인 5/3/2 방법을 소개했지만.
개인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어 50%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남는 예산을 다른 곳에 쓸 수 있도록 배정하면 됩니다. 다만 최소 20%는 꼭 따로 저축할수 있도록 무조건 정해두도록 합니다.

이 비용을 셀에 입력하면 주단위 고정 비용이 계산됩니다.

이렇게 고정비를 입력하면 첫번째,세번째 시트에 기본적 예산관리(안)이 만들어 집니다.
이제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이 30% 이상 남았습니다.

고정비로 둔 똑같은 식비라도 어떤 식비는 고정비일 수 있고, 어떤 식비는 변동비일 수도 있습니다.

항상 해먹어야하는 집밥은 고정비가 되겠지만 소개팅을 한다거나 친구들과 나가서 특별한 날 좋은 곳에서 돈을 써야한다면 변동비일 수 있습니다.

고정비용만으로 하루하루 살기에는 인생이 너무 팍팍하고 여유는 앞으로 더 열심히 일하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이 법칙을 제안한 의원도 수입의 30%는 여유 생활비로 쓰는 것이 좋다고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제 매주 일주일에 한번 일요일 저녁 최대 10분만 작업을 합니다.

주단위로 돈관리를 하는 이유도 간단합니다

한국에서는 직장인을 '월급쟁이'라고 말할 정도로 월급 개념이 강한데, 외국에서는 2주 단위로, 유럽은 주 단위로 급여를 지급받는 경우도 흔합니다.

얼핏 생각해보기에도 1달 월급로 30일을 생활하는 것보다 1주 급여로 7일을 사는 게 얼핏 보기에도 더 쉽습니다.

연봉으로 1년치 받고 365일을 살아야한다면 생각만해도 힘들죠.

돈관리하기 어려운건 둘째치더라도 급여를 받고 두, 세달만 지나더라도 하는 일에 대한 동기부여도 안될게 분명합니다.

그래서 바람직한 소비 생활을 위해 주급 으로 돈관리를 하는게 좋습니다.

요즘은 비대면으로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이 변동비만을 사용하는 신규 계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하고, 정해둔 예산 을 매달 자동이체 합니다.

그리고 한주에 한번 총 사용한 금액만 합쳐서 기록합니다

요즘은 은행 앱들도 정말 잘 정리가 되어있어서 실행해서 한주에 얼마를 사용했는지 직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용한 금액은 정해둔 예산을 초과하지않도록하고 쓴금액에서 남은 금액은 옆의 변동비 계좌에 바로 표현이 됩니다.

그리고 일일히 카드내용이력을 살펴보기보다는 한주에 가장 많이 지출을 한 항목만 3가지 정해서 이 셀에 기록해줄게요.

저는 이번주에 이렇게 사용하고 남은금액은 이렇게 있네요!

다만 옆에 자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소비들은 별도로 기록해줘서 소비흐름을 기록할 필요는 있습니다

한주에 여유 생활비에서 가장 많은 지출을 한 항목들을 3가지 정도 선택해서 이렇게 기록해줍니다.

복잡하지않고 직관적으로 어느 곳에 돈을 사용했는지, 현명한 소비였는지 한달에 한번정도 리마인드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남은 금액이 이렇게 시각화해서 보이는데….
그거 아시나요?

통장의 잔고가 점점 차는 건 웬만한 소비보다도 더 기쁜 일이라는걸..


20%: Savings: 저축, 투자, 연금 계획
한국에서 돈모으는건 부동산이라고들 하더라구요.
결국 한국에서 부동산을 사는 방법은 3가지라고 봅니다만 청약, 경매, 매매겠죠…청약은 결혼해도 가점없이는 힘들고 매매는 호가 후려치기가 너무많아 겁나고, 경매를 하기위해 최소한의 시드머니가 필요합니다.

결국 경매나 청약을 위한 시드를 어떻게든 만드는게 기본이겠죠?

50/30/20 법칙의 마지막 20은 수입의 20%를 저축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변동비 계좌에서 남은 부분 역시 바로바로 이 저축계좌에 표현되죠.

이 남은 비용으로 저는 주식을 하는데 이유는 간단합니다

월 60만원 싞 매년 10% 수익률을 목표로 재테크를 한다면
1년이면 630만원,
3년이면 2,100만원
5년 3,800만원
10년이면 1억
20년 이면 3.8억
30년이면 11억원이 됩니다.

현실적으로 부동산을 살 수 없는 30대로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1년에 수익률 10%가 어렵지않냐 라고 생각하시는데 가능합니다.

학생 때 수학을 못한다고하면 어떻게하지…라고 발만 동동 구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정석책을 보고 수학을 풀곤했는데(요즘은 어떤걸로 공부하는지 모르겠네요)
투자도 공부를 하면 됩니다.

꼭 투자가 아니라고 안전한 1금융 상품을 찾아봐도 좋을것 같습니다.

어쨋든 저는 증권계좌에 모은돈을 이렇게 표현해줍니다.

템플릿은 간단하지만 절대 완벽하지않고
제 개인적인 취향이기때문에 가공해서 자신만의 별도 가이드를 만들어보는 것도 재밌을거예요.

이렇게 1년 53주 간의 소비패턴 분석이 가능하고 기록을 남겨보시면서 느끼겠지만 결국 5:3:2의 패턴이 점점 바뀌어가는 것을 볼 수있으실 거라 확신합니다.

저는 이렇게 돈을 모으고 있네요…!

이제 그럼 출근노예인 저는 다음영상에서 인사드리겠습니다

안녕~~~